안녕하세요.
재테크 공부하는 모아이입니다.
오늘부터 꾸준하게 주식 종목 분석을 통해서
제태크 공부를 하나씩 진행해볼까 합니다.
관련 의견이나 조언은 댓글로 많이 부탁드리면서
오늘의 포스팅 시작해보겠습니다.
오늘 분석할 종목은 바로
코스피 - 한국석유(004090)
한국석유 종목입니다.
현재 이번주 3월 4일 금요일 장마감 기준으로 22,650원의 종가를 기록했으며
시가총액은 약 2,875억으로
코스피가 1.22% 하락한 가운데 금요일의 하락세를 견디지 못하고
1,050원 (4.43%) 하락으로 마무리했습니다.
하지만 3개월 차트로 본다면 이렇듯 10,000 초반대의 가격에서
2배가 넘는 상승을 보여준 종목이기도 한데요.
이렇듯 1월에 1만원대에 머무르던 주가가 어떻게
단기간에 22,650원까지 2배 넘는 상승을 이루었는지 살펴보면서
아직 진행 중인 이슈 러시아 - 우크라 전쟁과
연일 고공행진 중인 국제 유가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한국석유(004090) 종목을 3년 차트로 확인해보면
전 고점을 도전한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2020년 코로나 당시에는 5천원 언저리에 머물던 주식이
4배 가까이 상승했으니 이번 한국석유 종목 공부를 통해서도
인사이트를 넓히고 주식 매매에 있어서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우선 지금 장 전반적으로 살펴본다면
2월 14일부터 이어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슈로 인해서
국내 증시 뿐만 아니라 세계증시가 좋지 않았지만
그 와중에 상승한 섹터, 분야를 본다면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주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아무래도 수급이 몰리면서 유동성이 생긴 것도 한 몫하겠지만
근본적으로 상황을 바라보자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실제 전쟁 상황이 이어지면서
석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 분야의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석유관련 주가는 1월 중순부터 꾸준히 상승해오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펀더멘탈을 살펴보더라도 2021년 하반기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나쁘지 않은 지표들을 보여줬는데요.
한국석유 외에도 중앙에너비스 등 석유주, 정유 주식도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면 주식 시장을 분석하는 통찰력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석유, 중앙 에너비스 등 석유 관련주를 관심있게 봐야한다는 의견들도 있는데
이는 주봉을 근거로 설명한 한 글을 참고해보겠습니다.
주봉으로 관련 종목 주가 추이를 보면 대략적인 매도 시점을 잡을 수 있고
시장이 안 좋을 때 이슈가 되는 종목들은
생각 이상으로 오랫동안 주가가 상승한 사례들이 있습니다.
한국석유는 다른 종목들에 비해서 러시아 - 우크라 긴장 확대에 따른
국제 유가 급등으로 인해 석유류 제품 제조업, 도소매업 관련 주가 상승의
반사이익을 받아 상승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대성에너지의 경우와 같이
한국 가스공사로 부터 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취사용, 난방용, 냉난방공조용, 영업용, 산업용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는데
난방용 매출이 증가하는 실제 상황과 결합된 호재, CNG용 버스 등 천연가스 자동차 보급 확대 및
영업이익 6.6% 증가, 당기순이익 7.9% 증가와 같은
뚜렷한 상승 소스 없이 증가했다는 점에서는 펀더멘탈이 약하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다양한 정보들이 나오고 있지만 현재 장 전반적으로는
회복장이라기 보다는 하락장에 가깝기 때문에
신중한 투자가 중요해보이는 요즘 증시인 것 같습니다.
특히나 오늘 분석하는 종목인 한국석유는
2021년 5월부터 최근까지 횡보하다가
예맨의 드론테러와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반사적으로 주가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당분간 증시의 방향성은 미국 나스닥도 꾸준히 지켜봐야겠습니다.
하지만 나스닥이 꾸준한 상승을 해왔음에도
큰 조정없이 경기가 좋다고 해석되고 있으며
악재가 선반영 된 탓인지 악재 해소가 되는 즉시 주가가 오르는
현상들도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석유의 경우에는
급상승 후 단기적으로는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친환경이 포함된 BBB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고유가 상태가 유리하고
미국과 러시아 입장에서는 중국을 견제하기에도
고유가 상황이 유리하기 때문에 앞으로 한 두 번 정도의
석유 분쟁이 생길 때에 상승이 될 수 있는 여력이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남은 3월의 금리인상과 비메모리 부족 등의 소스는 두고 지켜봐야겠습니다.
큰 테마는 디지털 대전환과 탄소중립이라는 큰 물줄기를 두고
이슈가 강한 섹터에서 매매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드리면서
오늘의 메타노마드 포스팅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매매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클릭을 부르는 포스팅 > 주식 &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대 대선 결과에 따라 좌우될 테마주 : 아난티, 테마를 빼고 본다면 (0) | 2022.03.06 |
---|---|
LG에너지 솔루션 청약 , 따상, 경쟁률, 가격 예상? (0) | 2022.01.18 |
국토부 지적도 무료열람 사용법 공유! (0) | 2020.04.19 |
댓글